많은 서비스들이 사이트 내에서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내부 개발을 통해서 어떤 검색어가 가장 많이 쓰였는지 알 수 있지만,
GA를 통해서도 사이트에서 사용자들이 어떤 검색어를 가장 많이 검색하였는지 알 수 있습니다.
1. 웹사이트 내 검색어 확인 기능 (searchTerm)
이 방법은 웹(Web) 사이트 일 때만 사용이 추적이 가능한 방법입니다.
웹의 기본 특징은 URL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즉, URL 의 파라미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내부검색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내부에서 사용하는 검색어 관련 파라미터를 GA의 설정>보기> 보기설정에서 세팅해주시면 세팅한 시점부터의 검색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A 의 특성상 설정 이전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보기 설정에서 사이트 검색 세팅을 ON으로 바꾸고 검색어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입력하면 추적이 가능해집니다.
해당 작업을 하기 위해선,
먼저 우리 사이트 내에서 사이트 내 검색을 실시해보고, 어떤식으로 URL이 변경되는지를 확인하여 어떤 파라미터가 검색어와 함께 나오는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URL은 호스트이름/URI?파라미터1=값&파라미터2=값 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위의 네이버 예시를 보자면,
m.search.naver.com/search.naver?sm=mtp_hty.top&where=m&query=피서지
의 구조를 지니며, "/"가 붙는지 "?"가 붙는지, "&"가 붙는지를 확인하면 파라미터를 더 잘 찾으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세팅을 완료한 후에는 어떤 검색어가 내부에서 많이 검색되는지 확인해야겠죠?
그때는 GA 보고서에서 행동(Behavior) > 사이트 검색 (Site Search) > 검색어 (Search Term)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 GA는 아직 데이터가 없어서 해당 이미지는 첨부하지 않으나, 아래 경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Google Analy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Analytics Mobile 데이터 디버깅 하기 1. iOS (1) | 2021.06.29 |
---|---|
Google Analytics 디버깅 방법 1. Networks (0) | 2021.06.25 |
기존 Google Analytics의 기본보고서 살펴보기 (0) | 2021.06.24 |
Google Analytics 로 우리 사이트 웹로그 데이터 확인하기 <기본편> 2 (0) | 2021.06.22 |
Google Analytics 로 우리 사이트 웹로그 데이터 확인하기 <기본편> (0) | 2021.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