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oogle Analytics

Google Analytics 로 우리 사이트 웹로그 데이터 확인하기 <기본편>

by HSCHOI 2021. 6. 21.

구글 애널리틱스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로그 분석 서비스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역할은 우리 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수", 조회한 "페이지"와 해당 페이지의 "페이지 조회 수" 등에 대해서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데이터를 보려면 기본적으로 아래의 개발적인 단계를 거쳐야합니다.

 

1. G-mail 계정으로 구글 애널리틱스의 계정을 만든다.

2.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구글 애널리틱스의 속성을 만든다.

3. 추적 코드를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우리 사이트의 html  <head> 태그 내에 삽입한다. 

 3-1. 구글 애널리틱스의 속성 번호(Tracking-ID)가 담긴 추적코드를 사이트html 내의 <head></head> 태그 사이에 삽입한다. 

 3-2. Google Tag Manager를 이용하여 구글 애널리틱스의 속성 번호(Tracking-ID) 를 추적하도록 세팅한 후 해당 GTM의 코드를 내가 추적하려는 우리 사이트의 html <head> 태그에 넣는다.

 

 

아래에서 위 단계에 대해 더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1. Google Analytics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먼저 Chrome에서 gmail 계정 로그인 후 google analytics 사이트에 진입하게 되면, GA에 회원가입을 하게 됩니다.

 

GA를 사용할 때는 가급적이면 크롬 로그인(A)과 구글 로그인(B)이 동일한 것이 좋습니다.

크롬 로그인 계정과 구글 로그인 계정이 다른 경우, 튕겨나가는 등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Google Analytics 속성 만들기 

회원 가입 이후에는 추적하고자 하는 속성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2-1. 기존에 GA가 있는 경우에는 아래처럼 설정 > Admin(관리) > Create Property 를 클릭하면 새로운 속성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Create Property로 속성을 만듭니다.

2-2. 아래처럼 속성을 만들 수 있는 칸이 발생합니다.

  (1)번은 속성의 이름을 적는 칸입니다. 예를 들면 사이트 명을 적으면 됩니다. ex. hschoi0204.com 

  (2)번은 추적하려는 사이트의 기본 시간대를 적으면 됩니다. ex. 대한민국 또는 South Korea 

  (3)번은 사이트가 소속된 해당 국가의 통화를 적으면 됩니다. 전자상거래가 아니라면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Google Analytics는 기본적으로 GA4를 속성으로 생성하도록 세팅되어있습니다.

만약 기존의 UA 속성 (GA3) 버전으로 데이터를 보고 싶은 경우, (4)번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속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토글 버튼을 ON으로 바꾸면  GA4와 UA 속성을 모두 만들지, 아니면 UA 속성만 만들지 고를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처럼 2개의 속성을 모두 생성하며, enhanced measurement 기능을 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GA4 버전은 작년부터 정식으로 오픈된 기능이지만 아직 그 기능이 온전히 다 업데이트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서비스의 안정화가 될 때까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코드 삽입하기

3-1. GA 속성 추적 코드(gtag)를 HTML <head> 태그 단에 삽입합니다.

gtag 코드

3-2. GTM의 추적코드를 HTML 태그 단에 삽입합니다.

head에 들어가는 코드는 head 단에 삽입하고, 이후 body에 들어가는 코드는 body에 삽입합니다. 

 

 

3-3. 아래와 같이 사이트 내 head단에 적용한 이후에 실제로 GA로 수집되는지 확인합니다.

제 티스토리 내 스킨편집 기능을 통해 HTML에 GTM 코드를 삽입하였습니다.

 

 

이제 GA 로 데이터가 수집되는지, 실시간 보고서에서 확인하면 데이터 수집을 위한 기본 세팅이 완료된 것입니다.

 

 

 

댓글